Friday, September 9, 2011

허영무 이야기


스타1이나 2이나 게임 플레이를 멈춘 것은 물론이고 리그 중계도 그만 보기 시작한지 꽤 되었고, 개강 초부터 이런 저런 데드라인에 치여 정신 없는 와중이지만... 정말 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아서 스타리그 4강 허영무 vs 어윤수를 보았다. 오랜만에 보는 것임에도 감동에 눈물이 찔끔;

허영무가 가장 물이 올라 MSL 4강에 올랐을 때, 지금까지도 프로토스 최강자 중 하나인 송병구를 같은 수 같은 유닛 컨트롤 싸움에서부터 압도하며 씹어삼키는 것을 보고, 이제 손 느린 게이머의 시대는 여기서 끝이로구나 하며 개탄했던 기억이 난다. 그 때의 허영무는 별명처럼 정말 '올마이티' 해 보였다.

허나 내 설레발과는 달리 손 느린 게이머의 대명사인 송병구는 그 이후로도 꾸준한 성적을 낸 반면 허영무는 그렇게 올라간 결승에서 박찬수에게 3:1로 패하고 나서는 언제 그렇게 잘했냐는 듯이 바로 기나긴 슬럼프에 빠지고 말아 나를 아연실색하게 했다. 사람들은 '허필패' '패왕사신기'라며 조롱하기 시작했고, 이미 거듭된 패배로 상심했던 어린 게이머는 인터넷 상에서 네티즌들과 설전을 벌이는 등 심적으로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던 허영무가 MBC 게임 방송이 없어지고 3개의 프로팀이 해체되는 스타리그 최악의 지금 이 순간 과거의 상처들을 극복하며 '예선 와일드 카드 - 16강 재경기 - 8강 독보적 랭킹 1위 이영호와의 대결 - 4강 대 토스전 승률 1위 어윤수와의 대결' 을 걸쳐 다시금 결승에 오른 모습을 보니 가슴 한켠이 뭉클하다.

드라마틱하게도 허영무가 결승에서 만나는 상대는 SKT1의 정명훈. 최근 경기는 별로 보지 못했지만 프로토스전에 있어서라면 이영호에게도 둘째 가라면 서러운 그가, 군 입대를 앞둔 최연성 코치와 정명훈-최연성 콤비의 마지막 결승으로서의 투지를 불태우고 있으니 나는 여전히 허영무가 이길 거라는 예상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허영무가 다시 한 번 결승에서 패하더라도 나는 그를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그는 이미 아무리 절망적인 슬럼프에 빠지고 나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몇 번이고 회복할 기회는 다시 찾아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래, 언제든 다시 일어서고 내가 있던 그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만 믿으면 된다. 그렇게 몇 번이고 노력하면 언젠가는 한 발걸음을 더 내딛을 수 있을 테니까.

대학원 생활이 생각보다는 쉽지 않다. 한국을 나와 보니 세상이 참 넓고 잘 하는 사람이 너무나도 많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엔 나의 심성이 너무나도 유약하다, 이런 좌절감들에 자꾸만 마음이 흔들린다. 하지만 간만에 튼 스타리그에서 허영무가 럴커 밭에 스톰 뿌리는 모습을 보며 '그래, 나도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으면 다시 저렇게 할 수 있겠구나',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게 나도 좀 쑥스럽고 우습긴 한데, 정말 그런 위안을 받았다.

Sunday, July 31, 2011

Considered Harmful

전산에는 Considered Harmful이라는 이제는 재미삼아서도 많이 쓰는 문구가 있는데, 에드거 다익스크라의 'Go to statement considered harmful'이라는 논문에서 기인한 것. 여기에 ' 'GOTO Considered Harmful' Considered Harmful'이란 반박 논문과  '"GOTO Considered Harmful" Considered Harmful' Considered Harmful?'이 나오면서 난장판이 되고 두고두고 사람들이 써먹는 문구가 됨. 자세한 것은 위키 참조 http://en.wikipedia.org/wiki/Considered_harmful

그런데 내가 더 재미있고 인상적으로 본 것은 다익스트라의 답변 'On a somewhat disappointing correspondence'인데, http://www.cs.utexas.edu/users/EWD/transcriptions/EWD10xx/EWD1009.html 에 나타난 자신감 넘치는 태도. "에휴 이쯤 얘기하면 알아들을 줄 알았는데, 너희는 왜 아직도 이 모양 이 꼴이니? 할 수 없지, 내 자세히 설명해 줄께!" 하는 것 같달까...

덧붙여 '지금쯤 프로그래머라면 당연히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다들 알 줄 알았는데...'라는 다익스트라 느님의 말씀! 인덱스는 자고로 0부터 시작하는 것이 대세요 진리이니, MATLAB이나 R 개발자들은 반성하시고...

저번에 트위터에 올렸던 것 같은데 Infinity Kim 에게 보여줄 겸사겸사 해서; 예전에는 페이스북에 긴 글을 올리면 알아서 Note로 바꿔줬던 것 같은데 이제는 또 없어졌나 보네? 얘네들도 은근히 기능을 만들었다 없앴다 하고 있구만...

Friday, July 1, 2011

수식 사용 연습



<img src="http://www.codecogs.com/gif.latex?e^x = \sum_{i=1}^n 2^i" /> 이런 식으로 쓰면 됨!

Wednesday, May 18, 2011

튀빙엔에서의 여름 #1

고마운 기회를 얻어 여름 방학 동안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MPI - Max Planck Institute)에서 인턴 연구원으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정식으로 소속되어 있는 곳이 아니라 자랑하는 것을 쑥쓰러워해야 할 지 말아야 할 지 헷갈리지만; 막스 플랑크 연구소는 기초과학 연구에 있어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는 곳으로 제 전공 분야인 기계학습(ML - Machine Learning)은 그 유명한 버나드 쉘코프 박사가 이끌고 있습니다. 사실 이곳에 오면 한번 뵐 수 있는 것인가 내심 기대하고 있었는데 아직 뵙지 못했네요.

십수시간의 비행을 거쳐 시카고에서 런던으로, 그리고 런던에서 스투트가르트로 이동한 후 공항 버스를 타고 연구소가 있는 튀빙엔에 도착. 거기서 다시 버스를 타고 연구소 근처에 도착했더니 풍경이 이랬습니다;


으아... 정말 아무것도 없죠? 저는 일리노이 대학이 있는 어바나 샴페인이나 퍼듀가 있는 웨스트 라피엣처럼 도시와 연구소가 어느 정도는 붙어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도심으로부터는 버스로 10분 정도 거리가 있더라구요. 대충 내리면 연구소가 어디 있는지 뻔히 보이리라 짐작했던 저는 망연자실합니다. 어쩌겠어요, 길눈은 어둡고 가진 것은 튼튼한(?) 다리 뿐인데. 지도를 보고 무작정 걷습니다. 무거운 여행 가방을 질질 끌면서... (사실 잘못 내렸습니다. 더 가까운 정류장이 있었더라구요...)


뜨거운 햇살 아래서 셀카를... 사실 제가 얼마나 많이 걸었는지 도로를 보여주고 싶었는데 쉽지 않더라구요. 셀카고 뭐고 사진엔 썩 재능이 없어서 그냥 그러려니 넘어갑니다.


올레! 드디어 표지판을 찾았습니다. 제가 길눈은 어두워도 사실 지도 보고 길은 잘 찾습니다. 문제는 다음에 또 와도 또 헤매고 지도를 봐야 한다는 것... 처음 갈 때는 잘 찾아가요.


더 자세한 표지판을 만나는 데 까지도 한참 걸어야 했지만, 길이 맞다는 확신이 있었기에 발걸음은 그렇게 무겁지 않았습니다.


이곳이 제가 묵게 될 게스트 하우스입니다. 으아, 정말 감동의 눈물을 흘렸어요. 20시간 넘게 여행해서 찾아온 곳이니까... 도착한 시각은 금요일 오후 4시 경이었는데 여름 휴가 기간이라고 직원이 오후 2시에 벌써 퇴근해서 체크인도 바로 할 수 없었어요. 그래도 게스트 하우스 내의 까페 직원이 전화로 담당 직원도 불러주고, 위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 행색이 남루해진 제가 불쌍했는지 음료수도 하나 사줘서 맛있게 먹었죠. 다음에는 까페와 도서관, 그리고 식당이 함께 있는 멋진 게스트 하우스 소개를 하도록 할게요!

Saturday, January 22, 2011

한국어 블로그를 열다.

무엇을 생각하고 그것을 글로 담지 않으면 그것은 거의 하나 마나한 일이 되는 것 같다. 트위터나 페이스북도 좋은 매체이지만 휘발성이 지나치게 강하므로 이곳에 아주 짧게라도 간단히 글을 남겨 보고자 한다. 다른 블로그(http://d-ijk-stra.blogspot.com)도 운영하고 있지만 (일년에 글을 하나 쓸까 말까한 것도 운영하고 있는 것이라면) 이쪽은 영어로만 글을 쓰고 있기 때문에 얼마 되지 않으나마 RSS 피드를 받아가는 외국인들이 있다면 곤란할 것 같아서 한글만 사용하는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드려고 함. 영어로 생각을 끄적거릴 수 있다면 그 또한 좋은 일이겠으나 굳이 언어적 한계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싶지도 않고, 한국말을 연습할 기회도 필요하고.